이런식으로 2개의 매개 변수를 넘겨주면 사용 가능함 (데이터 조작)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 Beautifulsoup 라이브 러리 불러옴 # 네이버 서버에 대화를 시도 response = requests.get("https://www.naver.com/") # 네이버 에서 html을 줌 html = response.text # html 번역 선생님으로 수프 만듬 soup = BeautifulSoup(html,'html.parser') # html 소스와 html점검 프로그램 넣어주면 태그 추출 같은게 가능 # id 값이 NM_set_home_btn인 놈 한개를 찾아냄 word = soup.select_one("#NM_set_home_btn") ..
https://kotlinworld.com/75 HTTP 통신과 Socket 통신의 차이점 목표 Htttp 통신과 Socket 통신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HTTP 통신이란?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TML 파일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웹브라우저에서 통신이 일어나며, kotlinworld.com 참고글 https://brilliantdevelop.tistory.com/33 HTTP GET,POST방식 차이 이전 글 : https://brilliantdevelop.tistory.com/32 이 글을 읽기전에 먼저 읽을 것을 권장합니다. HTTP 메소드 중 GET방식과 POST 방식 차이 get방식이든 post방식이든 둘 다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
교육을 듣고 내가 이전에 공부했던 파이썬 기초 틀에대해서 다시 한번 정리를 해보았다. 먼저 자료형이란 ?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든 "그 언어의 자료형을 알고 이해할 수 있다면 이미 그 언어의 절반을 터득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말이 있다.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뜻한다. 프로그램의 기본이자 핵심 단위가 바로 자료형이다. 계산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어떤 것을 계산할지부터 알아야 하고,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을 만들려면 어떤 자료를 저장할지부터 알아야 하는 것처럼 기본 중의 기본이다. 따라서 자료형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려는 것은 기초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빌딩을 세우는 것과 같다. 자료형의 종류 1. 숫자형 (정수, 실..
내가 이 교육을 시작한 이유 나는 일단 python이라는 언어를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는 상태였고 이 언어를 활용하여 개발을 해보고 싶었다. 그러던 중 인프런 및 다양한 코딩 관련 사이트를 오늘도 어김없이 떠돌던 와중에 내가 관심 있었던 AI 및 데이터 분석을 파이썬이라는 언어로 교육을 진행한다고 하기에 좋은 기회라고 생각을 해서 교육을 신청하였다.